[출근길 인터뷰] 코로나19 두려움 실태조사…심리 방역도 중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, 불안감과 우울감을 느낀다는 사람이 많은데요.<br /><br />국민 10명 중 2명은 주변의 관심이 필요한 정도의 증상을 겪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 오늘은 정찬승 한국 트라우마스트레스 학회 홍보위원장을 만나 이번 조사 결과의 의미를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박진형 기자 나와 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 오늘은 정찬승 홍보위원장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정찬승 / 한국 트라우마스트레스 학회 홍보위원장]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? 정찬승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 장기화에서 한국 트라우마스트레스 학회에서 조사를 했다는데 어떤 조사였습니까?<br /><br />[정찬승 / 한국 트라우마스트레스 학회 홍보위원장]<br /><br />3월에 전국에 걸쳐서 1,000명 국민을 대상으로 해서 정신건강 실태조사를 했습니다. 그래서 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국민에게 어떤 걱정과 염려를 유발하는지 또 국민들은 그로 인해서 우울과 불안의 피해 정도는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어떤 서비스를 국가에게 요구하는지 등 다양한 분야로 조사를 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사 결과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대목이 있다면 어떤 게 있었을까요?<br /><br />[정찬승 / 한국 트라우마스트레스 학회 홍보위원장]<br /><br />특이하게 나타나는 것이 국민들의 걱정과 염려의 순위였는데요. 제일 첫 번째로 걱정하는 것이 자신의 안위가 아니라 자기 가족의 건강 문제였습니다. 그리고 두 번째로 나타난 것이 만약에 자기가 감염이 되면 그로 인해서 가족이 감염될까 봐 걱정하는 것이었고 또 세 번째는 자기가 감염되면 자기의 직장이나 이웃에게 피해를 줄까 봐 걱정하는 것이었습니다. 그런데 정작 자기 자신의 건강, 자기가 코로나에 감염될지에 대한 걱정은 6위에 머물렀습니다. 이것만 보더라도 우리나라 국민들이 얼마나 이타적인 마음을 가지고 있는지 그런 심성을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보통은 자기자신에 대한 안위 또 건강을 생각하기보다는 다르면 다른 사람을 생각했다는 점이 눈에 띄는 대목이긴 한데 또 하나 대구지역에서 눈에 띄는 결과가 나왔다고요.<br /><br />[정찬승 / 한국 트라우마스트레스 학회 홍보위원장]<br /><br />네 맞습니다. 대구지역은 이전에 실시되었던 정신건강 실태조사에서 우울과 불안 등 포함해서 정신건강 문제가 그렇게 두드러지지 않은 곳이었습니다. 그런데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대구지역의 우울과 불안이 전국 최상위권으로 올라갔습니다. 이것만 보더라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국민의 정신건강을 직접 위협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다면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봤을 때 향후에 어떤 대책을 좀 만들어놓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인가 이런 생각도 하셨는지요?<br /><br />[정찬승 / 한국 트라우마스트레스 학회 홍보위원장]<br /><br />맞습니다. 이런 조사의 목적은 이 결과를 도출해서 좋은 정책을 실시하고자 하는 것입니다. 그런데 여기에서 나타난 우울과 불안으로 가장 고통받고 있는 그룹이 누구인지가 중요한데요. 바로 30대, 60대 그리고 여성에서 이런 우울과 불안의 문제가 두드러졌습니다. 그런데 잘 생각해 보면 60대는 본인의 면역력도 약하고 또 고령층에서 이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치명적인 결과가 자주 보고됨에 따라서 걱정을 많이 하는 것은 당연한데 그렇다면 왜 30대 여성인가, 30대 여성들이 자기의 건강과 생명만을 위해서, 생명만을 염려해서 우울하고 불안한 것이 아닙니다. 30대 여성을 놓고 보면 그분들이 돌봐야 할 자녀들이 있습니다. 또 그분들이 염려해야 할 자신들의 부모님들 그리고 고령의 부모님들이 있고 또 30대라면 가장 활발하게 일할 나이가 아닙니까? 그런데 이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인해서 자신의 직장이 위협을 받고 또 자신의 사업이 위협을 받습니다. 자신의 생계문제까지 이런 모든 사회문제가 바로 30대 여성에게 응축이 되어서 일어나고 있습니다. 그러니까 정책을 세움에 있어서 어느 곳부터 시작해야 되는지 잘 도출해낸 연구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다면 끝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불안감, 우울감이 또 심해질 수 있습니다. 이런 분들한테 좀 어떤 조언을 해 주고 싶으신지요?<br /><br />[정찬승 / 한국 트라우마스트레스 학회 홍보위원장]<br /><br />사회에 이런 큰 변고가 있을 때 정신적으로 동요하는 것은 굉장히 당연한 일입니다. 우울하고 불안하고 걱정되고 또 염려되고 이러한 마음이 드는 것 자체를 비정상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. 지극히 비정상적인 상황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라고 할 수 있죠.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정신적인 고통이 너무 심할 때 그리고 이런 심한 정신적인 고통으로 인해서 자기의 일상이 위협받고 정상적인 생활이 방해되고 불가능해질 때는 반드시 그걸 혼자 마음속에 묻어둘 것이 아니라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또 정신건강 전문에 도움을 청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늘 바쁘신데도 함께해 주셔서 고맙습니다. 지금까지 박진형을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